분류 전체보기87 llama 사용법 Feat: ollama EP : 1 llama를 도입하게 되었고 llama 를 원하는대로 커스텀하는데 꽤나 애를 먹었기 때문에 개발일지를 작성할 겸 설명서를 작성해봅니다 Meta의 llama는 Meta 홈페이지에서 llama를 다운로드 하려고 하면 한국은 다운로드 대상 국가가 아니지만 오픈소스이기 때문에 구할 수 있다면 (ex. Meta 홈페이지 내의 협력사 사이트 ) 사용해도 무관하다. 현재 ollama 사용법의 블로그는 많지만 EC2 인스턴스 까지의 과정이 상세히 작성된 블로그를 보기가 힘들어 작성합니다. ollama를 이용해 llama를 구동하고 EC2 인스턴스에서 구동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일단 ollama를 다운 받는다. https://ollama.com/download Download Ollama on macOSDownload.. 2025. 2. 11. RESTful API 에 대해서.. 나는 RESTful API가 무엇이냐! 라고 질문한다면 RESTful API는 이것이다! 라고 명쾌하게 답을 할 수 있지 않다. 하지만 어떤것이 RESTful API에 부합하는지는 얼추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그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RESTful API 에 대해서 구글에 검색을 한다면 가장 먼저 반겨주는 것이 aws의 설명이다, 처음 개발에 대해서 공부할때는 이 글을 보아도 이해되지 않았지만 이젠 이해가되기 시작했다. 우연한 계기로 RESTful API에 대해서 돌아보고 한번 더 찾아보게 되었을때 REST에 대한 제약 조건을 상세히 들여다보게 되었고 눈여겨보지 않았던 제약조건을 찾아보게 되었다. aws 홈페이지에서는 한국어를 지원해주기 때문에 한국어로만 보고 판단하였지만 무언가 설명이 .. 2023. 11. 16. NodeJS는 논블로킹 모델이지만 asnyc/await을 사용하면 블로킹이 되는 것이 아닌가요? Node.js는 기본적으로 싱글스레드 논블로킹 모델이다. 하지만 asnyc/await 함수를 사용하게되면 블로킹 처리가 되는것이 아닌가요? 라는 질문을 받았을때 멍해졌다... 무엇이 맞는건지 블로킹 처리로 봐야하는건지, Node.js는 논블로킹 모델이 맞는데... 내가 잘못알고 있는것인가? Node.js가 블로킹 모델인가? 뭐라 대답해야 하는것인지 하나도 생각이 나지 않았고 시간과 여유를 가지고 곱씹어 보아도 나는 시원하게 대답하지 못하는 질문이었기 때문에 어떤 대답을 해야 했는지 찾아보았다 async/await은 JavaScript의 비동기 처리를 위한 문법적인 편의성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이를 사용하면 비동기 작업을 동기적으로 작성할 수 있지만, async/await를 사용하는 함수는 비동기 함수이다.. 2023. 6. 29.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란 데이터베이스 정규화는 데이터베이스 설계 과정 중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조작화하는 프로세스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성능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규화는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하고 일관성,무결성,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특정 규칙에 따라 분해하는 과정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주로 사용되는 정규화 기법은 제1 정규화, 제2 정규화, 제3 정규화 이다. 각각의 정규화 단계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 1. 제1 정규화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각 열을 원자값(Atomic Value, 하나의 값)을 갖도록 분해한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중복을 최소화하고 데이터베이스의 일관성을 확보한다. 2. 제2 정규화 제1 정규화를 진행한 테이블이 대해 부분 함수 종속성(Partial Functi.. 2023. 6. 8. 이전 1 2 3 4 ··· 22 다음